서울의 마지막 달동네<1> 중계동 백사마을

박원빈 기자 | 기사입력 2018/08/31 [16:47]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1> 중계동 백사마을

박원빈 기자 | 입력 : 2018/08/31 [16:47]

달동네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경제개발이 급속하게 추진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다. 도심에서 쫓겨난 판자촌 주민들은 정부가 정한 지역에 임시 천막을 치고 살았는데 방에 누우면 밤하늘의 달과 별이 보인다고 해서 달동네라는 말이 생겨났다. 1980년대에 들어서 도시 외곽의 달동네는 개발을 통해 판자집이 전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아파트가 건설된다. 서울의 경우, 도시빈곤층의 주거지로 형성된 달동네는 재개발을 통해 1990년대 후반 들어 대부분 사라지게 된다. 그중 아직까지 남아 있는 '서울의 달동네'를 뉴스다임에서 소개한다.<편집자주>

 

▲ 중계동 백사마을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중계동 백사마을은 지하철 4·7호선 노원역이나 1호선 창동역에서 1142번 버스로 갈아타고 종점까지 가면 된다. 중계동 104번지여서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백사마을이라고 한다. 1967년 박정희 정부는 개발을 이유로 강제 이주를 추진했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바로 이곳 백사마을에 마련해 줬다. 

 

▲ 중계동 백사마을은 집뿐만 아니라 수년 전부터 비어 있는 상가들도 많다.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당시 용산, 청계천, 안암동의 판자촌에서 살던 사람들이 대상이었다. 하지만 이주대책으로 해준 것은 30평 남짓한 천막이 전부. 그나마 분필로 4개의 선을 그어 네 가구가 살도록 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사 간 집을 사들여서 합치고, 남는 땅에 집을 지으면서 이곳의 주택은 대부분 20평 남짓한 구조로 변경됐다.

 

▲ 중계동 백사마을의 좁은 골목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중계동 백사 마을은 70~80년대 옛 정취보단 위태로움이 느껴진다. 뿐만 아니라 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만큼 좁은 골목길이 수맥처럼 연결돼 있다. 한때 1,200가구가 살았지만 곳곳에 보이는 빈집 사이에 약 300여 세대가 살고 있다고 한다. 백사마을에는 대부분 독거노인들만 살고 있으며 마을에 사람이 별로 없어 고요한 분위기다.

 

▲ 중계동 백사마을 입구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 중계동 백사마을에 주거지보전 개발사업 주민 설문조사 안내문이 붙어 있다.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백사마을은 지난 2008년 그린벨트가 풀린 뒤 2009년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택재개발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했으나, 재개발 방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그동안 정비사업이 정체돼 왔다. 서울시가 주민 갈등을 중재하고, 지난해 7월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시행자로 선정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서울시는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04♡랑 재생지원센터' 문을 열었다.

 

▲ 중계동 백사마을 낡은 건물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 중계동 백사마을 낡은 건물     © 뉴스다임 박원빈 기자

 

서울시의 구상을 보면 마을 전체 터의 22%에 해당하는 4만2000㎡에는 1~3층의 저층형 임대주택 698세대가 들어선다. 마을의 지형과 골목길, 계단길, 작은 마당 같은 1960~70년대 서민들의 주거·문화 생활사를 보존하는 방식의 ‘주거지 보전사업’이다. 나머지 부지 14만6900㎡는 최고 20층 높이에 1840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다. 

 

마지막 남은 서울의 달동네에서 살아가는 백사마을 주민들이 하루빨리 더 나은 주거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기획 많이 본 기사
광고